sublime text를 이용하여 gist올리기
Gist에 대한 설명
git에서 나온 서비스인데 소스를 코드로 조각조각 모으기도 좋고,
snippet 개념으로 저장하기도 좋다.
난 지금 내가 가지고 있고 정리해둔 js 파일을 하나씩 gist에 올리고 있는 작업도 하고 있다.
버전관리도 되니 이렇게 하나로 관리해두는게 편리하다.
sublime text에서 gist 플러그인 있으니 더 활용하는 방법을 알아보자 ^0^
sublime text를 이용하는 방법
※ 제일 먼저 할 일은 gist가 github 서비스 이므로 github 아이디와 패스워드가 있어야한다.
(그 후 방법에 대해 설명)
1. sublime text에서 플러그인 gist를 다운하여 설치진행
2. gist에 파일을 올리려면 본인의 github 정보와 token을 넣어줘야 하므로,
Preferences > Package Setting > Gist > Setting - User 을 클릭하면 빈 창이 뜨는데 아래와 같이 적어주면 된다.
※ token이 어딨는지 모르겠다면 github에서 확인해야한다.
github에 로그인 후 빨간색테두리인 저 부분 클릭 후 Settings 메뉴 클릭하여 들어간다.
왼쪽 메뉴 중 Developer settings 클릭 > Personal access tokens 클릭!
오른쪽 상단에 Generate new token 버튼 클릭해서 들어가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뜬다.
Token description 에는 token 이름? 입력한 후 gist에 꼭! 체크를 해주고 Generate token 클릭!
그 후 token이 생성되는데
저 빨갛게 체크한 버튼 클릭하여 복사한 뒤 다시 sublime text로 돌아와서 정보를 넣어주고 저장하면 된다.
3. test용 파일을 작성하여 아무거나 입력 후 ctrl + shift + p > gist 를 치면 메뉴들이 나오는데
Gist: Create Private Gist (비공개) / Gist: Create Public Gist (공개) 이 두가지로 새로운 파일을 올리면 되는데,
난 평소에 비공개로 올리기 때문에 자동으로 선택이 되어있다.
Create Private Gist 를 선택 하게 되면 하단에 Gist Description이 뜨는데 해당 파일에 대한 설명을 넣어주고 (생략가능),
엔터를 치면 Gist File Name 을 입력하라고 뜨고 입력 한 후 엔터를 치면 올라가는 거 확인!
4. 확인 하고 싶다면 ctrl + shift + p > gist > Gist: Open Gist in Browser를 선택하면 새창으로 열린다.
※ 만약 다른 곳에서 다시 설정하려고 하면 token만 재생성해서 설정하면 된다.
'프로그래밍' 카테고리의 다른 글
sublime text (-) 하이픈 영역 나뉘어서 선택시 해결방법 (0) | 2018.03.07 |
---|---|
jquery slick plugin slickGoTo 사용하기 (0) | 2018.02.19 |
스티커메모 단축키 (0) | 2018.02.14 |
sublime text css 젠코딩시 (:) 뒤에 공백 지우기 (0) | 2018.02.09 |
sublime text 날짜 주석 달기 (0) | 2018.02.02 |
댓글
이 글 공유하기
다른 글
-
jquery slick plugin slickGoTo 사용하기
jquery slick plugin slickGoTo 사용하기
2018.02.19 -
스티커메모 단축키
스티커메모 단축키
2018.02.14 -
sublime text css 젠코딩시 (:) 뒤에 공백 지우기
sublime text css 젠코딩시 (:) 뒤에 공백 지우기
2018.02.09 -
sublime text 날짜 주석 달기
sublime text 날짜 주석 달기
2018.02.02